CS

[Networks] HTTP 프로토콜

5kiran 2025. 2. 3.
반응형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은 무엇인가?

HTTP는 웹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서버 - 클라이언트 모델의 프로토콜이다.

웹 브라우저가 서버와 통신하는 규칙

 

애플리케이션 레벨의 프로토콜로 TCP/IP위에서 작동한다.

 

 

HTTP 프로토콜 특징

1. 서버 - 클라이언트 모델

HTTP는 서버 - 클라이언트 모델을 따른다.

클라이언트에서 요청(request)을 보내면 서버는 요청(response)을 처리해서 응답한다.

 

2. 무상태(Stateless)

HTTP는 Connectionless 방식으로 작동한다.

서버에 연결하고 요청해서 응답을 받으면 연결이 끊기며,

기본적으로 자원 하나에 대해서 하나의 연결을 만든다.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에 적합하며, 연결이 유지되지 않기 때문에 더 많은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

반면 연결을 끊어버리기 때문에, 클라이언트의 이전 상태를 알 수 없다.

이러한 특징을 Stateless라고 한다.

 

HTTP/1.1에서는 Persistent Connection 기능이 추가됨으로써, 한 번 맺어졌던 연결을 끊지 않고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불필요한 Handshake 과정을 생략해 빠르게 자원을 받아올 수 있다.

 

3. 요청 구조

 

4. 응답 구조

반응형

'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s] HTTP, HTTPS  (0) 2025.02.04
[Networks] TCP/IP  (0) 2025.02.04
배치 처리  (0) 2023.05.13
[CS] TCP/IP 4계층 모델  (0) 2023.05.02
[CS] 운영체제  (0) 2023.04.2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