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thon6 로그인 기능 세션 세션(Session)이란? 쿠키처럼 세션(Session)도 고객의 데이터이고 해당 데이터를 클라인트(Client) 브라우져(Browser)에 저장 해 놓습니다. 세션에서 보관하는 데이터는 flask에 의해 암호화 됩니다. 예를 들어 로그인한 상태에서 볼수 있는 페이지와 로그인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보이는 페이지 구분을 주고 싶을 때 세션에서 기록해서 Jinja2를 사용해서 해당 유져가 로그인 된 사용자인지 구분하여 다른 페이지를 보여 주는 것이 가능 합니다. Flask에서 세션(Session)을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선행 작업 app.secret_key = "My_Key" 앞서 세션이란 flask에서 암호화하여 정보를 client 브라우져에 보관한다고 하였습니다. 암호화를 위해 특정 문자열을 secret.. Python 2022. 12. 6. Python 파이썬 map, filter, lambda map people = [ {'name': 'bob', 'age': 20}, {'name': 'carry', 'age': 38}, {'name': 'john', 'age': 7}, {'name': 'smith', 'age': 17}, {'name': 'ben', 'age': 27}, {'name': 'bobby', 'age': 57}, {'name': 'red', 'age': 32}, {'name': 'queen', 'age': 25} ] def check_adult(person): if person['age'] > 20: return '성인' else: return '청소년' result = map(check_adult, people) print(list(result)) 결과 = ['청소년', '성인'.. Python 2022. 11. 21. Python 파이썬 조건문과 반복문 조건문의 사용 아래와 같이 사용!! num = 3 if num%2 == 0: result = "짝수" else: result = "홀수" print(f"{num}은 {result}입니다.") 결과 = 3은 홀수입니다. 하지만 코드를 아래와 같이 짧게 만들수 있다 num = 3 result = "짝수" if num%2 == 0 else "홀수" print(f"{num}은 {result}입니다.") 결과= 3은 홀수입니다. 이와 비슷한 것으로 반목문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a_list = [1, 3, 2, 5, 1, 2] b_list = [] for a in a_list: b_list.append(a*2) print(b_list) 보통 이런식으로 반복문을 사용하지만 a_list = [1, 3, 2, 5, 1, .. Python 2022. 11. 21. Python f-string 과 예외처리 f-string HTML에서 탬플릿 문자열과 비슷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scores = [ {'name':'영수','score':70}, {'name':'영희','score':65}, {'name':'기찬','score':75}, {'name':'희수','score':23}, {'name':'서경','score':99}, {'name':'미주','score':100}, {'name':'병태','score':32} ] for s in scores: name = s['name'] score = str(s['score']) print(f'{name}은 {score}점입니다') 결과 = 영수은 70점입니다 영희은 65점입니다 기찬은 75점입니다 희수은 23점입니다 서경은 99점입니다 미주은 100점입니다 병태.. Python 2022. 11. 21. Python 리스트와 딕셔너리 리스트와 딕셔너리 아래와 같이. sort를 사용하여 정렬해 줄 수 있다 a_list = [1,5,6,4,9,2,8,3,7] a_list.sort() print(a_list) 실행 결과 = [1, 2, 3, 4, 5, 6, 7, 8, 9] 반대로 정렬하고 싶다면??? a_list = [1,5,6,4,9,2,8,3,7] a_list.sort(reverse=True) print(a_list) 실행 결과 = [9, 8, 7, 6, 5, 4, 3, 2, 1] 배열속에서 값이 있는지 찾기 a_list = [1,5,6,4,9,2,8,3,7] result = (99 in a_list) print(result) 실행 결과 = False 99가 a_list에 없기 때문에 False가 출력된다 만약 99 가 있다면 True.. Python 2022. 11. 21. Python 문자열 자르기 파이썬 문자열 len() 문자열 숫자 세기 text = 'abcdefghijk' result = len(text) print(result) 실행 결과 = 11 문자열 자르기 3번째 뒤부터 자르기 text = 'abcdefghijk' result = text[:3] print(result) 실행 결과 = abc 3번째 앞에 자르기 text = 'abcdefghijk' result = text[3:] 실행 결과 = defghijk 앞 3번째 뒤5 번째 자르기 text = 'abcdefghijk' result = text[3:5] print(result) 실행 결과 = de .split() 문자열 자르기 @를 기준으로 앞뒤로 자르기 email = 'abc@sparta.com' result = email.spl.. Python 2022. 11. 21. 이전 1 다음 반응형